추진목표 : 국제 수준의 종자제도 확립
- 국제기구와의 교류·협력을 통한 업무체계의 국제화와 효율성 증진
- 종자제도 분야 국제 전문가 양성 및 최고의 전문기관으로서 위상 제고
- 종자 산업 국제정보·네트워크 구축 및 종자 관련 해외정보 제공
- 국가 간 · 지역 간 품종보호 협력을 통한 국익 증진 및 선진운영 홍보 확대
국제신품종보호연맹(UPOV), 아시아·태평양종자협회(APSA) 등 종자관련 국제기구와의 교류 확대 및 전문가 양성
- 국제기구 회원국으로서의 적극적 역할 및 국격 제고에 기여
- APSA 집행위원(`22~`24), UPOV 총회 의장(`10~`12), 국제회의 유치 12회
- UPOV 총회 및 기술위원회 참석(`21), APSA 회원총회 참석(`21), 동아시아 식물보호포럼(EA-PVP) 참석(`21) 등
- 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(UPOV) 채소작물 실무기술회의(TWV) 한국 개최(`19, 서울)
* 미국·네덜란드 등 16개국 30여명 대표단 참석/ 각국의 품종보호 국제동향보고 및 채소작물 특성조사기준 및 조사방법 등의 제·개정 논의 등
아시아 종자산업 발전을 위한 역량강화 연수(ODA 사업, `08~계속)
- 아시아 국가의 종자산업 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의 종자산업 소개 및 종자 생산 · 공급 · 검정 기술 연수
- 아시아 국가의 선진 종자 제도 및 검정·심사 기술 선진화에 기여, 아시아 국가와의 인적 관계망 구축 및 한국 종자의 해외 진출 기대
* 대상국(`22) : 15개국 15명(방글라데시, 중국, 인도, 인도네시아, 카자흐스탄, 키르기스스탄, 캄보디아, 말레이시아, 파키스탄, 필리핀, 라오스, 스리랑카, 태국, 우즈베키스탄, 베트남)
* 실적 : `08년부터 13회 실시, 20개국 149명
- 아시아 국가의 선진 종자 제도 및 검정·심사 기술 선진화에 기여, 아시아 국가와의 인적 관계망 구축 및 한국 종자의 해외 진출 기대
미얀마 피아폰구 벼농업서비스센터 구축 역량강화 지원 사업(ODA 사업, `19~`25)
- 정선시설 운영, 보급종 생산·공급 관리 지원을 위한 전문가 파견 및 연수 지원
국가간 식물품종보호 분야 업무협약(MOU) 체결
- 싱가포르 특허청 식물품종보호 업무협약 체결(`20)
- 식물품종심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
- 네덜란드 낙타운바우 식물품종보호 업무협약 체결(`19)
- 식물신품종보호제도 및 종자품질인증기술 발전을 위한 협력(품종보호 전문가 교류 및 품질인증 기술협력 등)
- 우즈베키스탄 농업자원부 식물품종보호 업무협약 체결(`18)
- 식물 신품종 재배심사 결과보고서 상호 인정 등
- 케냐 농축수산부 식물품종보호 업무협약 체결(`17)
- 식물 신품종 재배심사 결과보고서 상호 인정 등
- 베트남 농업농촌부 식물품종보호 업무협약 체결(`17)
- 식물 신품종 재배심사 결과보고서 상호 인정 등
- 러시아 품종보호위원회 식물품종보호 업무협약 체결(`16)
- 식물 신품종 재배심사 결과보고서 상호 인정 등